"1998년 희귀 동전 500원, 200만 원 즉구 삽니다."
현금이 차지하는 비중이 점점 줄어드는 오늘날, 기념주화와 동전 그리고 지폐를 사고파는 마니아 층이 있다.
그들은 '희귀성'과 보존성'을 중요시하고 물론 새것처럼 보관할수록 그 가치는 높아진다.
동전 같은 경우는 연도별로 그 동전의 생산량에 따라 가격의 가치는 달라진다. 예를 들면 IMF 시절 1998년 8000개만 제작된 500원 동전은 실제 경매를 통해 100만 원이 넘는 금액에 낙찰이 된 적도 있다.
지폐 같은 경우 시리얼 넘버에 따라 가치가 달라진다. 숫자가 반복이 된다던지, 좌우대칭, 오름차순, 내림차순 등 희소성이 높게 평가된다.
기념주화 같은 경우 당시 발행량에 따라 가치가 좌우가 달라진다. 애초에 역사적 사건이나 국가 행사가 있을 때만 발행되어 발행량이 적은 편이다.
희귀 동전의 종류와 그 가격은?
(※보존 상태에 따라 가격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.)
- 10원
-1966년(최초로 발행) : 30만 원
-1969년(적동) : 25만 원 이상
-1970년(적동/황동) : 각 30만 원 이상, 10만 원 이상
- 50원
-1972년(최초로 발행+발행량 적음) : 약 15만 원
-1977년(발행량이 적음) : 약 15만 원
- 100원
-1970년(최초 발행) : 15만 원
-1981년(유통량 적음) : 10만 원
-1998년(발행량 적음) : 각각 20만 원, 30만 원 이상
- 500원
-1987년(발행량 적음) : 5~10만 원
-1998년(발행량 적음) : 50~100만 원 이상
(출처 : MG 새마을금고)
희귀 화폐, 어떻게 팔까?
만약 발견을 했다면 새 지폐로 교환해줄 가능성이 높은 은행보다는 마니아층 즉, 수집가를 타깃으로 정해야 한다.
오프라인에 화폐수집상을 통해 교환하는 경로도 있지만 최근에는 옥션, 이베이 등 경매 사이트나 화동양행, 수집뱅크 코리아 등 다양한 희귀 화폐 거래 사이트를 통해 희귀 화폐를 감정받고, 직접 판매가 가능하다.
아니면 당근 마켓, 중고나라와 같은 직접 거래도 가능하다.
시간날 때 집에 굴러다니는 희귀 화폐을 찾아 재테크를 해보는 것은 어떨까?
'사는(life) 얘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프랑스 출신 배우, '알랭 들롱' 안락사 결정 (0) | 2022.03.21 |
---|---|
9호선 지하철 폭행녀 빌런 "나 경찰 빽있으니까…" (2) | 2022.03.21 |
'음주운전' 논란 / KBO 키움으로 강정호 복귀 (0) | 2022.03.19 |
넷플릭스(NETFLIX) 계정 공유시 추가 요금 부과 소식 (0) | 2022.03.18 |
달달한 음료가 마시고 싶을 때는 감성 커피 '대만 타이거 밀크티' 후기 (0) | 2022.03.18 |